2021. 6. 27. 22:17ㆍBig Dreamer_Developer/Git
만약 프로젝트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파일들이 있다면,
예를 들어서 스타일링에 관련된 style.css와 사용자의 log를 간직하고 있는 log파일도 있다고 가정해 보자.
echo styling > style.css
echo log > log.log
여기에서 git status를 이용해서 확인해 보면, 이제 log와 css 파일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 css 파일들만 추가하고 싶다면
git add *.css
이렇게 하면 css 파일들만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log나 빌드 안에 부수적으로 생깅 파일들은 git에 포함하고 싶지 않을 수가 있다.
이런 겨웅에 git ignore이라는 파일이 유용하게 쓰인다.
트래킹 하고 싶지 않은 파일들과 Git과 Github에 올리고 싶지 않은 파일들은 git ignore이라는 파일에 추가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log로 시작하는 파일은 추가 하고 싶지 않다면
echo *.log > .gitignore
이렇게 gitignore 이라는 숨겨진 파일에 만들어서 두면 된다.
ls -al 을 입력해보면 .git 폴더와 .gitignore 파일에 추가하고싶지 않은 파일들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ls 커맨드에 대해서 간단히 좀 더 알아보자.
ls 플래그 ▼
ls 커맨드는 기본적으로 디렉토리 내의 구성물들을 보여주는 커맨드이다.
대표적인 플래그(아래)와 함께 ls -l, ls -a, ls -aF 등으로 조합하여 많이 사용된다.
- -a : show hidden file/folders.
- -F : Display a slash(‘/’) for directory, an asterisk(‘*’) for executable file, at sign(‘@’) for symbolic link… etc.
- -l : shown as list.
start .gitignore
으로 .gitignore 파일을 열어서 보면, 들어가 있는 파일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git status를 입력해보자,
새로 추가된 .gitignore 라는 파일은 있지만 더이상 log파일은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해 볼 수가 있다.
위 사진처럼 파일 이름을 하나 작성 해도 되고, 아니면 동일하게 모든 log를 추가하고 싶지 않다면 *.log 이렇게 쓸 수 있다. 또한 특정한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들을 추가하고 싶지 않다면 build/ 이렇게 작성 해도 되고 또는 build 안에 있는 log들만 트래킹 하고 싶지 않다면 build/,log 이런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ode_modules/
이런 식으로 입력하게 된다면 node_modules 안에 있는 모든 것들은 무시를 하겠다, Git이 무시하고 버전을 관리하지 않겠다라는 뜻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gitignore을 잘 설정을 해야 우리가 진짜 의미있는 변화의 기록들을 남길 수 있다는 것이다.
'Big Dreamer_Developer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비교하기_diff (1) | 2021.06.28 |
---|---|
현재 상태 확인하기_status (0) | 2021.06.27 |
로컬파일들을 추가하기_add (0) | 2021.06.27 |
Git의 중요한 컨셉(git workflow) (0) | 2021.06.27 |
깃을 초기화 하고 삭제하기(터미널에서 Git 이용하기) (0) | 2021.06.26 |